연산자(operator)
-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 파이썬은 같은 데이터타입끼리만 연산이 가능
연산자 우선순위
- 괄호를 제일 먼저 연산
- 곱셈과 나눗셈을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 연산
- 우선순위가 같을 때에는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연산
- 괄호 → 산술연산자 → 비트 shift연산자 → 관계연산자 → 비트논리연산자 → 논리연산자
1) 산술연산자
1. 사칙연산자(+,-,*,/,%,//,**)
2. 정수 나누기 연산자(//) : A를 B로 나누었을 때 몫의 소수점 아래를 버린 값
3. 나머지 연산자(%) :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 값
4. 제곱연산자(**) ex. 2**3 = 8
2) 관계연산자
a<b : a가 b보다 작다
a>b : a가 b보다 크다
a<=b :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
a>=b :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
a==b : a와 b는 같다
* '2 = 2'와 같이 각각의 수가 같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
* 양 변이 같음은 '==' 관계 연산자로 표현
a!=b : a와 b는 같지 않다
3) 논리연산자(AND(&&),OR(||),NOT(!))
AND: 모두가 참이여야 참
OR: 하나라도 참이면 참
4) 대입연산자, 복합대입연산자
1. 대입연산자(=) : '변수 = 값'으로 선언하여 값을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
* '2 = 2'와 같이 각각의 수가 같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
2. 복합대입연산자 : 자료형에 적용되는 기본연산자와 대입연산자(=)를 함께 사용하는 연산자
a+=10 #a=a+10
a-=10 #a=a-10
#문자열의 복합대입연산자
string = '안녕하세요'
string += '!' #string=string+'!'
print(string) #안녕하세요!
5) 증감연산자
A++ (A=A+1) : 전위증가연산자
++A (A=A+1) : 후위증가연산자
A-- (A=A+1) : 전위감소연산자
--A (A=A+1) : 후휘감소연산자
a = 10
b = 20
c = a++ # a=10 c=11
d = ++b # b=21 d=21
6) 비트연산자
6-1) 비트 시프트 연산자
<< :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 :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6-2) 비트 논리 연산자
&: 논리곱(AND)
^: 배타적논리합(XOR)-같으면 0 다르면 1
| :논리합(OR)
~: 논리부정(NOT)
'Python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10. 함수(function) (0) | 2024.09.08 |
---|---|
[Python] 08. 조건문 (0) | 2024.01.09 |
[Python] 06. 입출력(input(),print(),print()문의 옵션) (0) | 2023.11.26 |
[Python] 05. 파이썬 문자열/리스트 관련 메소드, 함수 (0) | 2023.11.24 |
[Python] 04. 메소드와 함수 (0)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