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7

[Python] 19. 재귀함수

일반적인 함수 호출'함수 a'가 호출되어 실행되던 코드 중간에 '함수b'를 호출하면서 코드 진행이  '함수b'의 코드로 옮겨갑니다.'함수 b'가 호출되어 실행되던 코드 중간에 '함수c'를 호출하면서 코드 진행이  '함수c'의 코드로 옮겨갑니다.'함수 c'의 모든 실행이 종료되어 return한 값을 반환하고, '함수 b'의 '함수 c'를 호출했던 코드 다음 줄로 옮겨갑니다.'함수 b'의 모든 실행이 종료되어 return한 값을 반환하고, '함수 a'의 '함수 b'를 호출했던 코드 다음 줄로 옮겨갑니다.'함수 a'의 모든 실행이 종료되면 최종 값을 return합니다.   재귀함수-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 함수를 다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함수 내에서 같은 이름의 함수를 다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

Python/Python 2024.09.08

[Python] 18. 전역변수, 지역변수

전역변수- 함수 밖의 전역 공간에 선언된 변수- 프로그램 시작부터 종료까지 메모리에 상주하여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한 변수- 함수 내에서 참조 가능- 함수 밖에서 참조하면 원래의 값으로 돌아옴 (함수 내에서의 값이 함수 밖에서는 반영되지 않음)  지역변수- 함수 내에서 생성되어 함수 안에서만 사용 가능한 변수- 함수 호출이 종료되면 메모리에서 제거됨으로 외부 참조 불가능  global 키워드- 함수 내에서 전역 변수를 참조하거나 변경가능하게 하는 키워드- 변경된 값은 함수 밖에서 참조했을 때도 반영  (함수 내에서의 값이 함수 밖에서도 반영)a = 10 #전역변수b = 20 #전역변수print(a) #10print(b) #20def fun(): a = 100 #지역변수 globa..

Python/Python 2024.09.08

[Python] 10. 함수(function)

함수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만들어 놓은 프로그래밍 구문을 묶어 놓은 것 함수의 종류내장함수)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외장함수)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사용자 정의 함수) 사전에 정의된 내장함수 이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내장함수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ex. print(), sum(), max(), input(), int() 등  외장함수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ex. import random - 난수(규칙이 없는 임의의 수)를 발생시키는 모듈  사용자 정의 함수사전에 정의된 내장함수 이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서 사용할 ..

Python/Python 2024.09.08

[Python] 04. 메소드와 함수

메소드(method) - 특정 자료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 = 문자열 자료형에는 문자열 메소드가 기능을 수행 = 문자열 자료형에 리스트 메소드가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 문자열메소드) 변수명.split() , 변수명.replace() 등 리스트메소드) 리스트명.append() , 리스트명.sort() 등 - 변수명 뒤에 .(마침표)를 찍어서 사용하고 .(마침표) 앞에 메소드를 적용시킬 객체를 선언 ex. 변수명.메소드() # 리스트메소드 list1 =[] list1.append() #리스트에 원소 추가 list1.sort() #리스트 원소 오름차순 정렬 [Python] 06. 파이썬 문자열/리스트 관련 메소드 문자열 관련 메소드 1) 대소치환(upper(),lower(),title()) 문자열...

Python/Python 2023.11.24

[R] 04. 함수(function)

함수란? -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만들어 놓은 프로그래밍 구문을 묶어 놓은 것 함수의 종류 내장함수) 별도의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 외장함수) 별도의 패키지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사전에 정의된 내장함수 이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내장함수 별도의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 ex. print(), sum(), Sys.Date(), c(), 형변환함수(as.numeric()) * Sys.Date()함수 사용 시 R은 글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기에 정확하게 표기할 것 * 벡터관련내장함수 c(), append(),names() 외장함수 별도의 패키지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 패키지(p..

R/R 2023.11.22

[R] 03. 형 변환(casting)

형 변환(Casting)은 자료형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형 변환이 필요한 이유는 서로 다른 데이터타입끼리의 연산이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ex, 문자타입과 숫자타입 연산 불가능, 문자타입과 날짜타입 연산 불가능 (단, 날짜 타입과 숫자 타입 서로는 연산가능) 형 변환의 종류 암시적형변환(자동형변환) : 사용자가 바꾸지 않아도 내부적으로 자료형이 변환되는 경우 명시적형변환 : 사용자가 특정 함수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자료형을 변환하는 경우 자료형과 자료구조 확인하기 mode() : 데이터의 유형을 확인하는 함수 typeof() : 데이터의 유형을 확인하는 함수 더보기 - mode()와의 차이점 : mode()함수는 정수, 실수 모두 numeric(숫자형)으로 표현, typeof()함수는 정수(i..

R/R 2023.11.22

백준 [10870.피보나치 수5] | Python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0 10870번: 피보나치 수 5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www.acmicpc.net ✏️ 풀이방법1. for문으로 풀기1) 0과1로 시작하는 리스트 선언2) 앞에 두 수를 더한 값을 리스트에 추가 3) 리스트의 마지막 값 출력 2. 재귀함수로 풀기1) 두 수를 더하여 리턴하는 함수를 선언2) 구하려는 값에서 거꾸로 함수를 호출하며 리턴(재귀함수) 📌 코드1) for문을 사용하여 반복n = int(input())fibo = [0,1]..

Python/online judge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