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 3

[R] 02. 인덱싱(indexing)

인덱싱(indexing) = 색인이란 데이터의 일부분을 선택하는 작업을 말한다. 인덱싱(indexing) 은 [ ](대괄호)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일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각 자료구조마다 인덱싱(indexing)을 하는 방법이 다르다. 다른 언어와 달리 R은 인덱싱(indexing)이 '1'부터 시작한다는 것에 주의해야한다. - Java, C, C++, Python은 인덱싱(indexing) '0'부터 시작 1. 벡터(vector) - 벡터 인덱싱(indexing)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v1 v1[2] [1] 2 > v1[c(3:5)] [1] 3 4 5 > v1[c(3, 5, 6)] [1] 3 5 6 2. 행렬(matrix) - 행렬은 한가지 데이터 유형으로 구성된 2차원 구조의 데이터이기에 행과..

R/R 2023.11.22

[R] 01. R의 자료구조

데이터 유형 1) 숫자형(numeric): 숫자로만 이루어진 데이터타입 2) 문자형(character): 문자로만 이루어진 데이터타입 3) 논리형(logical): TRUE(T) 또는 FALSE(F)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타입 단일형데이터: 한가지 데이터 유형으로만 구성된 데이터 ex. 스칼라, 벡터, 행렬, 배열 다중형데이터: 여러가지 데이터 유형으로 구성된 데이터 ex. 리스트, 데이터프레임 0. 스칼라(scalar) - 한 가지 데이터 유형으로 구성된 0차원 구조의 데이터 - 길이가 1인 벡터 1. 벡터(vector) - 한 가지 데이터 유형으로 구성된 1차원 구조의 데이터 - ':', c(), seq(), rep() 함수를 사용하여 선언 변수명

R/R 2023.11.22

백준 [2738.행렬 덧셈] | Python

✏️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738 2738번: 행렬 덧셈 첫째 줄에 행렬의 크기 N 과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행렬 A의 원소 M개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이어서 N개의 줄에 행렬 B의 원소 M개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N과 M은 100보다 작거나 같 www.acmicpc.net ✏️ 풀이방법 1. A,B 두개의 2차원 배열을 각각 입력받기 2. 입력받은 각 행열의 서로의 원소를 더한 값 변수선언해서 저장하기 3. 저장한 변수 출력하기 4. 출력할 때 공백과 함께 출력해야하기에 print함수의 end옵션과 함께 출력 📌 코드 n,m = map(int,input().split()) a = [] for i in range(n): a.append(lis..

Python/online judge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