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Python

[Python] 06. 입출력(input(),print(),print()문의 옵션)

구름솜:D 2023. 11. 26. 14:07
728x90

input() (입력하기)

- 명령프롬프트에서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 사용

- input() 함수는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해도 결과가 무조건 문자열 자료형***

a = input()

 

print() (출력하기)

-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할 때 사용

a = "hello world"
print(a)

hello world

 

 

print()문의 옵션(end, sep, format메소, %서식기호)

파이썬은 코드라인 끝에 특수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엔터로 라인을 변경하면 코드의 끝을 의미한다.

다음과 같이 출력하면 엔터로 라인을 변경해서 코드가 두 줄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int("Hello")
print("World")

#출력
Hello
Wolrd

 

이에 파이썬에서 출력문에 사용되는 함수 print()에는 다양한 옵션들을 사용해서 출력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1) 'end' 옵션'

- print문의 출력을 완료한 뒤 다음 print문과 이어서 출력(기본값은 개행"\n")

print("Hello", end = " ")
print("World")

#출력
Hello Wolrd

- print문의 출력을 완료한 뒤 end에 입력한 내용 출력 후 다음 print문이 연결되어 출력

print("Hello", end = " Python ")
print("World")

#출력
Hello Python Wolrd

 

 

2) 'sep' 옵션

- print문의 출력할 요소들을 separation 영어 그대로 분리하여 출력(기본값은 공백)

print("Hello","World" , sep = ' ')

#출력
Hello World

- print문의 분리된 출력문들 사이에 구분자에 입력한 내용을 함께 출력

print("Hello","World" , sep = '@')

#출력
Hello@World

 

 

3) format메소드 사용

- format메소드는 문자열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 print문에 숫자와 문자열을 동시에 출력할 때 숫자를 문자열로 전환하여 출력

- format 영어 그대로 형식에 맞춰 출력

- 출력할 문장의 중괄호 {} 개수와 format함수 안의 매개변수의 개수는 반드시 일치

- 계속해서 값이 바뀌는 문장을 출력할 때 유용

- 자리수를 맞춰서 출력할 때 유용

print("오늘은 {}월 {}일 입니다." .format(11,24))

#출력
오늘은 11월 24일 입니다.
#자리수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print("어린이날은 {}월 {}일 입니다." .format(5,5))
#두자리로 입력
print("어린이날은 {:2d}월 {:2d}일 입니다." .format(5,5))
#두자리로 입력하며 빈칸은 0으로 출력
print("어린이날은 {:02d}월 {:02d}일 입니다." .format(5,5))

#출력
어린이날은 5월 5일 입니다.
어린이날은  5월  5일 입니다.
어린이날은 05월 05일 입니다.

 

 

4) %서식기호 사용

- print문에 숫자와 문자열을 동시에 출력할 때 사용

- 출력할 문장의 %서식기호의 데이터 타입과 %안의 매개변수의 타입은 반드시 일치

- 출력할 문장의 %서식기호'의 개수와 %안의 매개변수의 개수는 반드시 일치

  %c: 한 글자(character)  

  %s: 문자열(string)

  %d: 정수

  %f: 실수

  %x: 16진수

  %o: 8진수

print("%s는 %d월 %d일 입니다." %('크리스마스',12,25))

#출력
크리스마스는 12월 25일 입니다.

 

* format함수와 %서식기호의 차이점은 format함수는 숫자를 문자로 바꿔 문자열로 출력하고, %서식기호는 숫자형 그대로 출력한다는 것이다.

위의 예제 코드로 보면 11월 24일의 11,24는 문자열이고, 12월 25일의 12,25는 정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