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모델링 설계 순서
1. 데이터 베이스 계획
2. 요구사항 분석 : DB에 저장될 내용을 정하기 위해 사용자 요구사항분석
3. 개념적 데이터 설계 : DBMS 독립적 개념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모델링 및 정의
4. 논리적 데이터 설계 : DBMS에 맞는 스키마,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5. 물리적 데이터 설계 :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 설계, 트랜잭션 세부 설계
6. 구현
데이터모델링 3단계
1) 개념적 모델링(추상적)
- 실제 데이터에 대해서 개체간의 상관관계를 표현
- ex. 개체-관계모델(E-R모델, ER다이어그램)
2) 논리적 모델링
- 개념적 설계로 만들어진 엔티티와 속성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의하는 것
(DBMS의 데이터골격(스키마)구현)
- 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 대해 key, 속성, 관계등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모델링
3) 물리적 모델링(구체적)
- 논리적 데이터 설계에서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실제 저장장치에 어떻게 저장할지 설계
- DBMS에 의존하는 데이터 형식, 뷰, 제약조건, 인덱스 등을 설정하는 단계
(ex. 테이블정의서, 제약조건리스트, 인덱스명세서)
-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이식할 수 있도록 성능, 저장등의 물리적인 성격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 3요소
- 사물(Things) → 개체(Entity)
- 속성(Attribute)
- 관계(Relationship)
[개체(Entity)]
- 업무에 필요하고 변별이 가능하며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물(Things) 또는 집합적인 것
( = 자료수집의 대상이 되는 정보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 각 개체는 속성으로 알려진 특성들로 정의
- 구체적 또는 추상적인 사물로서, 서로 구분되는 특성에 따라 속성집합으로 표현
- 개체의 종류
1) 독립엔티티 : 사람, 물건, 장소, 개념처럼 원래부터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엔티티 ex.사원, 고객
2) 중심엔티티 : 업무가 실행 되면서 발생하는 엔티티 ex.주문, 납품
3) 종속엔티티 : 중심엔티티로부터 분리된 엔티티
4) 교차엔티티 : 두 개 이상의 엔티티간에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의해 발생하는 엔티티
[속성(Attribute, Filed)]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속성의 종류
1) 단일값속성(Single-valued Attribute)
: 개체의 속성 중 주민번호 또는 학번과 같이 반드시 하나의 값만 존재
2) 다중값속성(Multi-valued Attribute)
: 여러개의 값을 가질 수 있음
3) 단순속성(Single Attribute)
: 더 작은 구성요소로 분해할 수 없는 속성
4) 복합속성(Composite Attribute)
- 이름같이 독립적인 의미를 좀 더 기본적인 성/이름 등의 속성으로 분해할 수 있는 속성
[관계(Relationship]
- 속성관계) 속성간의 관계
- 개체관계) 개체사이간의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 3가지
- 구조(Structure)
- 연산(Operation)
- 제약조건(Constaint)
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명세를 기술, 정의한 것
1) 내부스키마(Internal Schema)
- 물리적 저장 장치 관점(기계관점)에서 본 데이터 베이스의 물리적 구조
2) 개념스키마(Conceptual Schema)
- 논리적관점(사용자관점)에서 본 전체적인 데이터 구조
3) 외부스키마(Ex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 중 사용자가 사용하는 한 부분의 논리적 구조 ≒ 서브스키마
DBMS
-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정의하고, 조작, 제어(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들이 DB를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 및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 DBMS의 필수기능
1) 정의기능(Definition Facility)
- 저장될 데이터의 형태, 구조등을 정의(생성)하는 기능
2) 조작기능(Manipulation Facility)
-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검색, 삽입, 수정, 삭제 지원
3) 제어기능(Control Facility)
-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보안, 병행수행 제어
*무결성)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가 오류없이 정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약조건이나 성질
무결성 제약조건
1) 개체무결성
- 기본키는 NULL값이 올 수 없고, 중복될 수 없음
2) 참조무결성
- 외래키는 NULL값 가능, 기본키는 NULL값 불가능
3) 도메인무결성
- 속성값이 정해진 범위 내로 구성되어야 함
4) 고유(Unique)무결성
- 고유값을 갖는 조건에서 각 속성값은 모두 달라야함
5) NULL무결성
- 속성값이 NULL값이 올 수 없는 제약조건
6) KEY(키)무결성
- 한 릴레이션(테이블)에는 최소한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함
'Certificate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5과목] | 정보 보안 (0) | 2024.01.17 |
---|---|
정보처리기사[2과목] | 개발환경도구 (0) | 2024.01.12 |
정보처리기사[2과목]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0) | 2023.12.20 |
정보처리기사[1과목] | 현행 시스템 파악 (0) | 2023.12.20 |
정보처리기사[1과목] | GoF 디자인 패턴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