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5과목] | 정보 보안

구름솜:D 2024. 1. 17. 15:41
728x90

정보 보안 3요소

1) 기밀성(Confidentiality) : 인가된 사용자만 정보자산에 접근

2) 무결성(Integrity, 완전성) : 시스템 내의 정보는 오직 인가된 사용자가 인가된 방법으로만 수정가능

2) 가용성(Availity) : 사용자가 필요할 때 접근할 수 있는 능력

 

 

암호화 알고리즘

암호화(Encryption) : 평문 → 암호문

복호화(Decryption) : 암호문 → 평문

 

 

비밀키 암호화 기법(Private Key)

- 대칭키 암호화 기법, 개인키 암호화 기법

- 같은 키로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고 알고리즘이 단순

- 스트림방식과 블록방식으로 분류

 

[스트림방식]

: 평문의 길이와 동일한 스트림(stream)을 생성하여 비트 단위로 암호화(XOR연산수행)

종류) RC4, A5/1, LSFR, SEAL, WEP, OFB

 

[블록방식]

: 평문을 블록 단위로 암호화

1) DES(Data Encryption Standard)

- 1970년대 초 IBM이 개발

- 평문을 64bit로 블록화

- 실제 키의 길이는 56bit를 이용

- 전사 공격에 취약

2)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DES를 대신하는 새로운 표준

- 블록크기는 128bit, 키 길이는 128/192/256bit

3) ARIA 

- 국내 기술로 개발된 암호 알고리즘

4) SEED

- 국내 기술로 개발된 128bit 블록 암호 알고리즘

5) IDEA

- 스위스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 세 가지 연산을 혼합하는 방식

 

 

공개키 암호화 기법

-  비대칭키 암호화 기법, 공중키 암호화 기법

- 암호키와 해독키가 서로 다른 기법

- RSA, ElGama, ECC, DSS

RSA) 소인수분해의 얼여움에 기초를 둔 알고리즘, 1978년 MIT가 제안

ElGama) 이산대수의 문제의 어려움에 기초를 둔 알고리즘